정부가 발표한 이번 청년정책은, 청년이 생존 걱정에서 벗어나 원하는 삶을 준비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기존의 소득 기준 선별 지원에서 벗어나 '모든 청년'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지원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 것이 핵심입니다.

정책은 크게 ①사회 진입, ②자립기반 마련, ③사회 참여 3대 분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
1. 사회 진입: 괜찮은 일터와 재진입 사다리 마련

청년들의 원활한 사회 진출과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.

  • 일터 권리 보장

    • AI 노동법 상담을 운영하여 일터 괴롭힘, 임금체불 등에 즉각 대응합니다.

    • 플랫폼·프리랜서 등 새로운 고용형태를 보호하기 위한 '일터권리보장 기본법' 제정을 추진합니다.

  • 구직·역량개발 지원

    • '쉬는 청년'을 위해 정부가 먼저 찾아가는 **'일자리 첫걸음 보장제'**를 도입해 1:1 상담, 심리회복, 일 경험을 제공합니다.

    • AI·빅데이터 등 청년 선호 분야의 직업훈련과 일 경험-채용 연계를 강화하여 약 60만 명의 역량 개발을 지원합니다.

    • 자발적 이직자에게도 구직급여를 1회 지급하고, 국민취업지원제도 지원금을 인상합니다.

  • 군 복무 기간의 경력 활용

    • 전체 장병 약 47만 명에게 AI 온라인 교육과 대학 원격강좌 수강료를 지원합니다.

    • 연간 6만 4천 원의 전자책 구독 및 구매 비용을 지원합니다.

  • 창업 및 재도전 지원

    • 청년창업사관학교에 AI·딥테크 과정을 신설하고, 신산업 창업기업에 세제 감면을 확대합니다.

    • 실패 경험이 있는 청년을 위한 재도전 트랙을 마련합니다.

    • 문화·예술 청년 창작자 3,000명에게 연 900만 원을 지급하고, 청년 농·어업인 정착 프로그램을 확충합니다.


2. 자립기반 마련: 자산·주거·생활비 부담 완화

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실질적인 생활 부담을 줄이는 데 집중합니다.

  • 자산 형성

    • **'청년미래적금'**을 2026년 6월에 출시하여 납입액의 6~12%를 정부가 매칭 지원합니다.

    • 군 장병 대상 '내일준비적금'을 초급간부까지 확대하고, 정부가 납입액을 100% 매칭합니다.

  • 주거 안정

    • 청년 월세 지원을 계속사업으로 전환하고 요건을 완화합니다.

    •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계약 컨설팅과 주거상담소를 운영합니다.

  • 생활비 절감

    • 국가장학금 증액, 학자금 대출 및 대학원생 생활비 대출을 확대합니다.

    • '천원의 아침밥' 지원을 늘리고, 월 5.5만 원 정액 대중교통 패스를 도입합니다.

    • 청년이 국민연금에 처음 가입 시 첫 보험료를 정부가 지원합니다.

  • 복지 및 지역 정착

    •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단축하고 비대면 상담을 강화하여 고립·은둔 청년을 지원합니다.

    • 비수도권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근속 인센티브를 지급하고, '청년친화도시'를 매년 3곳씩 지정합니다.


3. 사회 참여: 청년이 정책 당사자가 되는 구조

청년을 단순한 수혜자가 아닌, 정책 설계와 결정의 주체로 참여시키는 구조를 만듭니다.

  • 정책 결정 참여 확대

    • 정부위원회 227개에 청년 위원을 10% 이상 위촉합니다.

    • 대통령, 국무총리 등이 주관하는 청년과의 대화 채널을 상시 운영합니다.

  • 정책 전달체계 고도화

    • 온라인 통합플랫폼 **'온통청년'**에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나이, 소득, 지역에 맞는 정책을 추천하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합니다.

  • 소통 강화

    • 청년정책 공모전, 청년신문고, 온라인 투표 등을 통해 청년의 목소리를 정책에 직접 반영합니다.

    • 성별 인식 격차 해소를 위한 현황 분석 및 공론화의 장을 마련합니다.


정부는 올해 연말까지 이러한 내용을 구체화하고 신규 과제를 반영하여 **'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(5개년)'**을 수립할 예정입니다.


▶ 보편적 청년정책 - 안정적 기본생활보장

▶ 국민주권정부 청년정책 추진방향 발표